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C 드라이브만 있는 경우가 많죠. 하지만 **D 드라이브를 따로 만들어서 자료를 정리하거나 백업용으로 쓰면 훨씬 편리**합니다. 오늘은 D 드라이브 만드는 방법과 함께, 포맷 방식인 **NTFS와 FAT32의 차이**도 초간단 비교해드릴게요! 🙌
💡D 드라이브 만드는 순서
1. 내 PC 또는 내컴퓨터 : 마우스 우측 버튼 / 추가 옵션 표시 / 관리 (윈도우10버전은 바로 '관리' 클릭)
/ 디스크 관리 클릭
2. (C:) : 마우스 우측 버튼 / 볼륨 축소 / 축소할 공간 입력 / 11000(11GB) / 축소 클릭
아래 축소 후 전체 크기는 C 드라이브 전체를 의미합니다.
3. D 드라이브가 생성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가상 공간을 제외한 용량입니다.
4. 생성된 D 드라이브 : 마우스 우측 버튼 / '새 단순 볼륨' 클릭 /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 시작 / '다음 클릭
5. 파티션 크기를 지정하십시오 : 그대로 '다음' 클릭
6. 드라이브 문자 할당 : D 지정(자동으로 생성됨) '다음' 클릭
여기서 USB나 다른 하드가 연결되어있다면 E 드라이브나 F 드라이브로 자동 생성됩니다.
우선 자동 생성되는걸로 한 후 나중에 바꿀수도 있습니다.
7. '새 볼륨' : '다음' 클릭 / 단순 볼륨 마법사 완료 '마침' 클릭
새 볼륨은 그냥 진행하셔도 되고 원하는 드라이브명을 작성하셔도 됩니다.
이것 또한 나중에 이름 변경하기가 가능합니다.
8. 이제 새로운 D 드라이브가 완성되었습니다.
9. 완성 : 내컴퓨터에서 생성된 D 드라이브가 보이시죠~ 저는 data로 이름을 주었습니다.
이렇게 해서 혹시 C 드라이브가 깨지더라도 D 드라이브에 있는 자료는 살아남을 수 있을 가능성이 생겼습니다.
💡FAT32 와 NTFS의 차이점(새 볼륨 위 파일 시스템)
🔹 FAT32
- 📏 최대 파일 크기: 4GB
- 💽 최대 파티션 크기: 2TB (Windows 기준)
- 🔄 호환성: Windows / macOS / Linux / 게임기 / 스마트 TV 등에서 폭넓게 지원
- 🔒 보안 기능: 없음
- ✅ 장점: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 가능, 가볍고 빠름
- ❌ 단점: 4GB 이상 파일 저장 불가, 보안 기능 없음
🔹 NTFS
- 📏 최대 파일 크기: 16EB 이상 (사실상 무제한)
- 💽 최대 파티션 크기: 256TB 이상
- 🔄 호환성: Windows에서 완벽, macOS는 읽기만 가능, Linux는 일부 드라이버 필요
- 🔒 보안 기능: 파일/폴더 권한, 암호화, 압축 등 지원
- ✅ 장점: 고급 보안 기능, 대용량 저장, 시스템 복구 기능
- ❌ 단점: 호환성 낮음, FAT32보다 무거움
🔹 exFAT (Extended File Allocation Table)
- 📏 최대 파일 크기: 16EB (이론상) – 사실상 무제한
- 💽 최대 파티션 크기: 128PB 이상
- 🔄 호환성: Windows / macOS 완전 지원, Linux는 추가 설정 필요
- 🔒 보안 기능: 없음
- ✅ 장점: 대용량 파일 저장 가능, FAT32보다 나은 호환성
- ❌ 단점: 일부 구형 기기에서는 인식 불가, 보안 기능 미지원
※ Windows 에서는 대부분 NTFS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
📊 언제 어떤 파일 시스템을 사용해야 할까?
한눈에 보는 비교표:
최대 파일 크기 | 4GB | 무제한 | 무제한 |
최대 파티션 크기 | 2TB | 무제한 | 무제한 |
Windows 호환성 | ✅ | ✅ | ✅ |
macOS 호환성 | ✅ | ✅ | ❌ (읽기만 가능) |
Linux 호환성 | ✅ | 🔶 (추가 설정 필요) | 🔶 (드라이버 필요) |
보안 기능 | ❌ | ❌ | ✅ |
추천 용도 | USB, 외장 메모리 | USB, 외장하드 (다양한 OS와 사용 시) | Windows 전용 저장장치, 시스템 드라이브 |
💡macOS에서 사용하는 기본 파일 시스템 알아보기
macOS에서 사용하는 기본 파일 시스템은 APFS, HFS+, exFAT 등이 있습니다.